"해외 고객은 방치?" SK텔레콤 유심 해킹 대책, 한계 드러나다

SK텔레콤이 대규모 유심(USIM) 해킹 사고 이후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와 보안 강화 조치를 발표했지만, 정작 해외 체류 고객들은 대책의 사각지대에 놓이며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국내 고객들의 신속한 대응에는 박수를 받을 수 있었지만, 해외 고객 관리는 허술함을 드러내며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국내 고객에는 무상 교체, 해외 고객은 "그림의 떡" SK텔레콤은 지난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전국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를 중심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19~27일 사이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고객들에게는 환급 조치를 약속했다. eSIM 이용자들까지 포괄한 적극적인 대응이었다. 하지만 해외 체류 중인 고객들은 예외였다. 현재 로밍 중인 고객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도, 유심 교체도 불가능하다. 특히 IMEI 대조 방식으로 운영되는 유심 보호 서비스는 로밍 접속 자체를 막아버려 가입할 수도 없다. 대리점 부재로 유심 실물 교체 역시 사실상 차단된 상태다. "발만 동동"...실제 사례로 드러난 문제 호주에 체류 중인 김 모 씨는 유심 배송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차선책으로 eSIM 전환을 시도했지만 기존 요금제보다 비싼 요금제를 감수해야 했다. 중국 체류 중인 도 모 씨는 해외 고객센터 연결조차 실패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해외 고객은 없는 셈 치냐"는 원성 섞인 글들이 줄을 잇고 있다. 게다가 SKT 티월드 애플리케이션 내 유심 보호 서비스 대기 인원은 27만 명에 육박했고, 예상 대기 시간은 74시간을 넘어섰다. 명의도용방지 서비스(PASS 앱)도 접속이 지연되거나 일시 중단되는 등, 대책이 현실적으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도 나섰다, "조치 적정성 점검" 지시 정부 역시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움직였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과 유심 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