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고객은 방치?" SK텔레콤 유심 해킹 대책, 한계 드러나다

 

SK텔레콤이 대규모 유심(USIM) 해킹 사고 이후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와 보안 강화 조치를 발표했지만, 정작 해외 체류 고객들은 대책의 사각지대에 놓이며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국내 고객들의 신속한 대응에는 박수를 받을 수 있었지만, 해외 고객 관리는 허술함을 드러내며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국내 고객에는 무상 교체, 해외 고객은 "그림의 떡"

SK텔레콤은 지난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전국 T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를 중심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19~27일 사이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고객들에게는 환급 조치를 약속했다. eSIM 이용자들까지 포괄한 적극적인 대응이었다.

하지만 해외 체류 중인 고객들은 예외였다. 현재 로밍 중인 고객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도, 유심 교체도 불가능하다. 특히 IMEI 대조 방식으로 운영되는 유심 보호 서비스는 로밍 접속 자체를 막아버려 가입할 수도 없다. 대리점 부재로 유심 실물 교체 역시 사실상 차단된 상태다.

"발만 동동"...실제 사례로 드러난 문제

호주에 체류 중인 김 모 씨는 유심 배송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고, 차선책으로 eSIM 전환을 시도했지만 기존 요금제보다 비싼 요금제를 감수해야 했다. 중국 체류 중인 도 모 씨는 해외 고객센터 연결조차 실패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해외 고객은 없는 셈 치냐"는 원성 섞인 글들이 줄을 잇고 있다.

게다가 SKT 티월드 애플리케이션 내 유심 보호 서비스 대기 인원은 27만 명에 육박했고, 예상 대기 시간은 74시간을 넘어섰다. 명의도용방지 서비스(PASS 앱)도 접속이 지연되거나 일시 중단되는 등, 대책이 현실적으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도 나섰다, "조치 적정성 점검" 지시

정부 역시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움직였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과 유심 교체 조치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할 것을 지시했다.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 부처들도 국민 불편 해소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나섰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5월 중 해외에서도 유심 보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미 불편을 겪고 있는 해외 고객들에게는 뒤늦은 조치라는 비판이 거세다.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SK텔레콤은 국내 고객에 대한 신속한 무상 교체와 환급 조치로 초기 대응은 잘 끌어냈다. 하지만 해외 고객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점, 시스템 부하에 대비하지 못한 점은 뼈아픈 실책이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사후 수습이 아니라, 향후 글로벌 고객까지 포괄하는 통합적인 위기 관리 시스템과, 선제적 고객 보호 체계가 절실하다는 경고로 봐야 한다. SK텔레콤은 더 늦기 전에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할 것이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 사회의 젠더 갈등,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나?

국내 기업들,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를 준비하다

유럽의 ‘안전보장군’ 우크라이나 파견 구상, 현실적 대안인가 갈등의 불씨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