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 KCP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매출 상승에도 영업이익 하락
매출은 4.8% 증가, 영업이익은 2.3% 감소
NHN KCP는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으로 281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10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다. 매출 상승에도 불구하고 이익이 줄어든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일부 대형 가맹점의 거래량 감소와 기업회생절차를 밟은 주요 온라인 쇼핑몰의 거래 중단 등 외부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NHN KCP는 고정비 증가와 신규 인력 충원에 따른 비용 부담도 영업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최근 결제 산업이 디지털 전환과 고도화를 추구하는 가운데, NHN KCP 역시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기적 수익성 저하 문제는 분명히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수익성 확보와 비용 효율화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신규 가맹점 유치와 결제 인프라 확장이 매출 성장 주도
회사 측은 이번 매출 성장의 주된 배경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제 인프라의 안정적인 확장과 신규 가맹점 확보를 꼽았다. 특히 패션, 글로벌 뷰티, 유선방송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신규 고객을 유치하며 거래 규모를 키웠다. NHN KCP는 지속적인 서비스 고도화와 함께 기술 기반의 솔루션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플랫폼 전반의 거래액 증가로 이어졌고, 이번 분기 총 거래액은 11.8조 원에 달했다.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균형 잡힌 매출 기여는 NHN KCP의 성장성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다. 다만 거래량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비용 구조의 개선 없이는 이익으로 연결되기 어렵다는 점은 향후 과제로 남는다. 수익성 중심의 운영 전략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성장의 모멘텀도 지속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수입차 업종 침체와 티몬·위메프 거래 중단이 일부 타격
다만 일부 가맹점의 업황 부진이 전체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으로 수입차 가맹점의 차량 인도량 감소가 이번 분기 거래량 축소의 한 요인으로 지목됐다. 또한 지난해 기업회생절차를 시작한 티몬과 위메프의 거래 중단도 총거래액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NHN KCP가 주요 파트너사에 의존하는 매출 구조의 취약점을 드러낸 대목이기도 하다. 업종 다변화와 함께 안정적인 거래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향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제시된다. 특히 중소 규모의 가맹점과의 협력 확대 및 오프라인 시장 내 입지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외부 환경 변화에 취약한 수익 구조는 기업의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우려를 낳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철저한 리스크 분석과 대안 마련이 필수적이다.
AI 기반 솔루션 개발 및 가맹점 지원 체계 고도화
NHN KCP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AI 기술 기반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 및 API 연계 강화를 통한 가맹점 지원 체계 고도화에 나서고 있다. 전방위적인 온라인 상거래 인프라 제공 기업으로서, 간편결제, 정산, 보안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플랫폼을 통해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전자결제 서비스 업계 최초로 매출 1조 원을 돌파하며 업계 내 입지를 확고히 다진 바 있다. 향후에는 AI를 활용한 맞춤형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공하고, 자동화된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더욱 효율적인 가맹점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단순 결제 인프라 제공을 넘어, 파트너사의 매출 증대와 경영 안정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혁신적 시도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충성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결제 플랫폼의 진화와 NHN KCP의 과제
NHN KCP는 현재의 결제 중심 사업 구조를 넘어서, 다양한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플랫폼의 확장성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결제 솔루션은 단순한 지불수단을 넘어서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높은 초기 투자비용과 운영 복잡성을 동반하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체계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외 규제 환경의 변화, 데이터 보안 이슈 등도 NHN KCP가 풀어야 할 숙제다.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NHN KCP가 기술 혁신과 고객 중심 경영을 조화롭게 실현한다면, 결제 산업의 핵심 기업으로서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갖추는 데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전략은 단기 수익성보다는 장기적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기반 다지기에 집중돼야 한다.